- TCP/IP가 OSI 모델보다 먼저 개발되었다.
- 두 모델 모두 계층형이지만 서로의 계층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.
- TCP/IP는 인터넷 개발 이후 계속 표준화되어 신뢰성이 높지만 OSI모델은 실제로 구현되는 예가 거의 없어서 신뢰성이 낮다.
- OSI 모델은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를 어떻게 표준으로 잡을지 개념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실질적인 통신 자체는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지만,
OSI 7 계층 :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
TCP/IP 4 계층 : 프로토콜의 중심으로 단순화된 모델
OSI 7 계층
7계층 - 응용 계층 (Application) : User Interface 제공
-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. 최종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계층이며,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이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Message
6계층 - 표현 계층 (Presentation) : 데이터 변환 작업 계층
- 응용 계층 데이터 표현에서 독립적인 부분. 응용프로그램 형식을 준비 또는 네트워크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네트워크 형식을 응용프로그램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낸다.
->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"표현" 하는 것. - Base64 와 같은 데이터를 암복호화 하는 작업을 6 계층에서 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Message
5계층 - 세션 계층 (Session) :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 지원 계층
- 사용자와 서버 간에 대화가 필요하면 세션을 만드는 작업을 처리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Message
4계층 - 전송 계층 (Trasport) : 서비스 구분 및 데이터 전송 방식을 담당하는 계층 (TCP/UDP)
- Port 번호를 통해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까지 데이터가 도달하게 한다.
- 보낼 데이터의 용량, 속도, 목적지 등을 처리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Segment
3계층 - 네트워크 계층 (Network) :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연결하는 계층
-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.
- 데이터에 논리적 주소 (IP 주소) 를 부여하고 데이터를 목적지 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Routing) 을 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Packet
2계층 -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) : 물리적 매체에 패킷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계층
- 두 개의 직접 연결된 노드 사이의 노드 간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며 물리 계층의 오류 수정도 처리한다.
- 데이터에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부여해서 출처를 알 수 있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Frame
1계층 - 물리 계층 (Physical) : 물리적 장치를 통한 데이터 전송 계층 (허브, 케이블)
- 데이터 전달 역할만 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bit
TCP/IP 4 계층
OSI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된 모델)
4계층 - 응용 계층 (Application) : 사용자 - 소프트웨어 간 소통을 담당하는 계층 (OSI 5,6,7 계층에 해당)
- Application 끼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계층
- PDU(Protocol data unit) : Data / Message
- ex) HTTP, DNS
3계층 - 전송 계층 (Transport) : 데이터 송수신 담당 및 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 (TCP/UDP, OSI 4 계층에 해당)
- End-to-End 신뢰성 확보
- PDU(Protocol data unit) : Segment
- 전송 주소 : Port
- ex) TCP, UDP
2계층 - 인터넷 계층 (Internet) : 논리적 주소인 IP 를 이용한 노드간 데이터 전송과 라우팅 기능 담당 (OSI 3계층에 해당)
- 단말을 구분하기 위해 논리 주소로 IP 주소를 할당하게 되고, 이 IP 주소로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를 식별하여 주소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.
- 네트워크끼리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인 '라우터'라고 하며, 라우터에 의한 네트워크 간의 전송을 '라우팅'이라고 한다. 이 라우터가 내부의 라우팅 테이블(Routing Table)을 통해 경로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는데, 이렇게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가리켜 End-to-End 통신이라고 부른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Packet
- 전송 주소 : IP
- ex) IP, ARP, ICMP, RARP
1계층 - 네트워크 연결 계층 (Network Access) :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담당 계층 (OSI 1,2 계층에 해당)
- 인터넷 계층과 달리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가 전송된다.
- 즉, 논리적 주소가 아닌 물리적인 주소인 MAC 을 참조해 장비간 전송을 하고, 에러 검출과 패킷의 Frame 화를 담당한다.
- PDU(Protocol data unit) : Frame
- 전종주소 : MAC
- MAC, LAN, Ethernet
'JAVA (SPRING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LinkedHashSet (0) | 2025.03.05 |
---|---|
IP-PBX 와 IP-Centrex 방식의 차이 (0) | 2025.02.18 |
트랜잭션의 의미와 격리 수준 (Isolation Level) (1) | 2025.01.04 |
동시성 제어 (Concurrency Control) 와 해결방법 (0) | 2024.10.16 |
개인과제 트러블 슈팅 (1) | 2024.10.10 |